-
시장을 이기는 주식 투자를 위한 방법주식 2023. 10. 22. 01:33반응형
2020년 코로나가 시작될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주식투자를 시작해서 4년째 시장에서 고군분투하며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매년 시장을 이길 만큼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꾸준히 공부하면서 새로운 종목을 찾아내고, 투자하고 수익이 날 때까지 기다리고, 매도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어느 정도 제게 맞는 투자 방법을 안착시켰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판단 미스로 사봤던 종목도 있었고, 제가 판단한 기준에 맞지는 않지만 꿈을 좇아서 사본 주식도 있고, 주변 지인으로부터 추천받은 종목에 묻지 마 투자를 해보기도 했던 지난 4년간의 경험을 돌아보니 결국 철저히 회사의 가치를 따질 때 장부가치에 기인하지 않으면 잘못된 투자로 영원한 자본 손실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미스터마켓과 안전마진
요즘 읽고 있는 "주식 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에서는 미스터 마켓의 특징에 대해 설명합니다. 미스터 마켓이란 시장을 3인칭으로 빗대어 흔히 표현하는 단어인데 미스터마켓의 기분은 도저히 예측 불가능해서 투자자로서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은 사거나, 기다리거나, 팔거나 세 가지 중 하나라는 것. 미스터 마켓의 심리는 도저히 예측불허에 가까우니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현명한 길임을 말해줍니다.
하루에도 들쭉날쭉 날뛰는 불안한 미스터 마켓을 나름의 방식으로 통제하는 방법은 "마법의 공식"을 사용하여 평균 이상의 기업을 평균 이하에 사는 방법이고, 장기적으로 시간이 흐르면 반드시 보상을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 이 책의 골자입니다. 아직 마법의 공식까지는 확인을 못했습니다만 여기서 말하는 안전마진이란 지금 거래되는 주식의 가격이 장부가치 대비 평가절하 되어 있다면 매수를 하는 것이 맞는 것이고, 단기간 하락장이라 주식이 하락할 수 있더라도 결국 그 가치에 맞는 가격을 찾아갈 것이라는 것이 소위말하는 가치투자인데 싸게 저렴하게 사서 회사가 가진 가치만큼의 여유분을 안전마진이라고 부르는 듯합니다.
손익 계산서 (Income statement)의 이해
결국 기업을 성장하게 만드는 것은 매년 벌어들이는 매출과 매출에서 발생한 이익. 단적으로는 두 가지 요소가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총매출에서 원가를 빼면 수익이 나올 것이고, 여기서 또 각종 판매, 일반 및 관리 비용 등을 차감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세금을 제하고 나면 최종 순수입(순이익)이 비로소 나오는 것이죠.
간단한 것 같지만 금액이 커지면 계산하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간과하게 되는데 주식 투자를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매출과 순이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매수하려는 주식이 지금 버는 돈의 몇 배까지 평가해서 이 주식을 살 것인지가 결정되기 때문인데 막상 내가 사려는 주식이 현재 가치의 30배, 많게는 50배, 100배가 되는 것을 투자 전에 알게 된다면 결코 쉽게 손이 나가진 않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주식은 앞으로도 절대 사지 못할 것 같습니다.
염가와 기다림
주주가 된다는 것은 결국 회사의 지분을 나눠 갖게 된다는 의미를 뜻 합니다. "회사"에 투자하는 이유는 가장 믿을만하게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정부, 개인, 은행, 코인, 회사 등을 돈을 벌어들이는 주체라고 본다면 이 중에 실체가 있으면서도 가장 현실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은 어떤 것일까요? 저는 회사라고 생각하고 그렇기 때문에 회사에 투자해야 된다는 것은 화폐가치의 하락을 막기 위해서라도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회사들은 수많은 종류의 사업을 영위하고 회사의 사업 진행상황과는 별개로 주식시장에서 그 가치를 평가받습니다. 꾸준히 매출을 신장하면서도 순이익까지 좋아지는 기업을 "염가"에 살 수 있다면 그리고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시장을 이기는 투자를 할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만약 내가 산 주식이 충분히 싼 가격에 샀다 생각이 든다면 그다음은 기다림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시장 가격보다 싸게 샀다고 생각하면 주식창을 매일처럼 확인할 필요도 없고 제 값을 찾아갈 때까지 기다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이미 투자금을 전부 투자해 놓은 상황이라면 할 수 있는 것은 그다음을 위한 종목 공부, 가치관이 흔들리지 않고 지속적인 투자 마인드를 가져갈 수 있는 좋은 책들을 읽는 것이 인내하는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반응형'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미국 대선 관련 수혜주, 수혜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2) 2023.10.15 [미국 주식 공부 1] 앨버말 (ALB) - ALBEMARLE, 이차전지 소재 리튬관련 주식 (2) 2023.10.10 금리가 떨어질 것을 대비해서 채권 투자를 고려 해볼까? (0) 2023.03.28 물적분할과 인적분할의 차이점 (0) 2023.03.26 무상증자와 유상증자의 뜻과 차이점 (2) 202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