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텐츠는 자산이 되고, 자산은 다시 컨텐츠가 된다.주식 2023. 2. 18. 22:45반응형
오로지 나만 갖고 있는 나만의 스토리는 희소한 콘텐츠가 되고, 이는 곳 물질적인 가치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콘텐츠가 곧 자산이 되고, 이렇게 쌓아 올린 성공 경험은 다시 나만의 콘텐츠로 많은 이들 앞에서 강의를 하거나 책을 쓰는 등으로 선순환될 수 있습니다. 물론 콘텐츠의 질도 중요하지만 매일매일 차곡차곡 쌓아 올리는 성실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를 "콘텐츠-자산의 선순환 고리"라고 스스로 명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2019년부터 4년째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그저 개인적인 기록을 남기고, 사진을 정리하고자 시작한 블로그를 통해서 적은 돈이지만 매년 광고수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단지 나를 위한 기록에서 시작한 블로그는 제가 경험했던 일들을 처음 경험하는 이들에게는 정보가 되기도 하고, 참고할 만 한 내용이 되기도 하면서 뿌듯함을 느끼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보상이 주어진다는 것이 블로거를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무것도 없는 진정한 "무"의 상태에서 사진, 글만 정리하여 올린 내용들이 내가 모르는 누군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거나, 그런 기록들이 보상으로 돌아오는 것은 참 감사한 일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에 이런 내용의 포스팅을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제가 만든 포스팅의 광고 수익으로 주식 계좌를 만들고, 가치주를 투자해서 일지를 작성하기 위함입니다. 노동수익이 아닌 콘텐츠를 통해 얻은 수익을 헛되게 사용하고 싶진 않았습니다. 이를테면 맛있는 것을 사 먹는다거나 나를 위한 선물을 하는 등. 좀 더 생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몇 가지를 고안한 것이 첫째로는 또 다른 파이프라인을 만들 수 있는 선험자의 강의 듣기, 두 번째로는 책을 구매하기, 마지막은 직접 투자하기였습니다.
마침 코로나 시기부터 주식투자를 시작했었고, 지금 운영하고 있는 계좌 말고 별도로 가치주 전용의 계좌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직접 투자를 하면서 기업을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블로그에 공유하면 더욱 내용의 블로그가 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제가 늘 생각했던 컨텐츠-자산의 선순환을 만들어내는 것이죠. 나를 위한 행위가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생각하며 차분히 포스팅이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킹달러 시대가 지속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살아날 수 있을까? (0) 2023.02.20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가치주 (포스코홀딩스, 영원무역홀딩스, 국도화학) (1) 2023.02.19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 전년 대비 6.4% 상승 (2) 2023.02.16 국민연금도 주식 투자를 한다. (0) 2023.02.15 내가 가치투자를 하는 이유2 (안전마진과 가치트랩) (0) 202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