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이디어를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는 이유
    부자의 마인드 2024. 1. 11. 08:21
    반응형

    계획을 세우거나 삶에서 기발한 아이이어를 생각해 내는 사람은 대개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려고 노력하는 사람이자 오늘 보다 나은 내일을 살고 싶은 삶에 욕심이 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마음을 먹는 순간부터 좋은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도 있고, 이런 기발한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 계획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아이디어가 아이디어에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 그리고 누구나 이런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다는 것이 성공에 이르지 못하는 맹점이 되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중도 포기하거나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실행만 하면! 성공으로 이어질 것 같은데 소수만 성공항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목표의 불 확실성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 스텝으로 가기 위한 목표 설정입니다. 사람은 결코 목표한 바 이상을 넘어설 수 없습니다. 적어도 목표한 곳까지는 도달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목표는 클수록 좋지만 현실가능성이 있어야 합니다. 매일 블로그 작성을 통해서 월 1,000만 원을 버는 것을 목표로 하더라도 그 기한을 명확하게 정해놓지 않으면 실행하는 과정에서 쉽게 지치거나,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만약 지금 이루고 싶은 일이 있는데 뭔가 제대로 진행이 되지 않을 때에는 본인이 원하는 목표를 다시 설정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내가 원하는 바를 어느 정도 기한을 두고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꾸준한 실행을 가능케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고 싶은 일이 다양할 때

    만약 지금 이루고 싶은 일들이 다양하고, 아이디어가 여러 가지로 분산되어 있을 때 이를 실행에 옮기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매일 블로그 작성이 목표였는데 친구들과 만나서 술을 마시고 싶기도 하고, 가끔은 휴대폰을 하면서 의미 없는 짧은 영상 등을 넘기는 것도 하고 싶기도 합니다. 또한 틈틈이 운동도 하고 싶고, 여행도 다니고 싶다면 바로 아이디어는 많고 한 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가장 이루고 싶은 하나의 아이디어 대신 다른 하고 싶은 일들을 먼저 하려다 보니 한 가지에 집중하지 못하고 결국 중요하고 급한 일이 가장 나중으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미루게 됩니다. 하고 싶은 일들이 다양할 때 점차 중요성을 망각하게 되고, 실행하지 않는 자신을 합리화하기 때문에 결국 중도 포기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기 합리화

    "이 정도면 됐다."라고 스스로 판단하는 대부분의 경우 아이디어를 결국 실행에 옮길 수 없습니다. 사람의 본성은 가급적 쉬고 싶고, 뭔가 더 이상 하지 않으려는 것이 뇌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본성의 틀을 의식적으로 깨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안주하려는 마음가짐, 게으름 등이 생긴다고 합니다. 또한 자기 합리화를 쉽게 허용하고 포기하는 순간 남의 계획대로 내 시간을 살아가는 순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를테면 갑자기 만들어진 술자리 약속이라던지, 계획에 없던 모임 같은 것들. 이런 일들을 경계하기 위해서는 항상 자기 객관화 (메타인지)가 필요한데 본인의 위치를 스스로 객관화하여 점검하는 일을 반복적으로 해야 스스로 포기하거나 남을 위한 인생을 살게 되지 않습니다. '내가 나에게 괜찮다고 말하는 것'이 어쩌면 기발한 아이디어를 실행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 반복적인 실행이 성공으로 이르게 하지 못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아닐까 생각하며 오늘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