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MI 지수란 무엇이고, 미국 PMI 지수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뭘까?주식 2022. 2. 24. 00:33반응형
구매관리자 지수라고 불리는 PMI (Purchasing Manger's Index)라고 하는 지표는 무엇이고 우리 삶과 주식 시장에는 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PMI (Purchasing Manger's Index) 란 ?
구매 관리자 지수. 말 그대로 각 업계 구매 담당자에게 전화 및 설문을 통해서 제조업 분야 경기를 파악하는 지표를 말합니다. 주식, 경제 관련 줄임말은 상당히 많지만 알고 보면 별 의미는 없는 듯합니다. 매달 미국 구매 관리자 협회에서 회원 300명에게 기업의 신규 주문, 재고, 생산 등을 조사하고 향후 경제를 어떻게 전망하는지 0~100으로 수치화하는 것을 뜻하는데 기준은 50입니다. 50 이상이면 제조업의 확장, 경기 확장을 의미하고, 50 미만이면 제조업 및 경기의 위축을 뜻한다고 합니다.
미국의 PMI 지수 56.7을 기록하다.
이번 달 미국의 PMI 지수가 56.7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50 이상이면 제조업과 경기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니 지금처럼 지정학적 리스크나 악재가 많은 시기에 좋은 뉴스가 아닐 수 없습니다. 원자재 상승 압박에도 불구하고 재고를 줄이고, 생산을 하고 신규 주문을 계속한다는 말은 곧 경기가 활성화된다는 신호가 아닐까요. 한편으로는 오미크론의 확장도 다소 주춤해지고 경제 활동이 재개함을 시사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한국도 하루에 10만 명이 넘는 확진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향후 선진국의 행보를 따른다면 급속도로 증가하는 코로나의 확진 세는 특정 임계치를 넘어서게 되면 다소 누그러들 것으로 보입니다. 중증 및 치사율이 심각한 병으로 치부하기보다는 시쳇말처럼 위드 코로나 (With Corona)가 현실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국의 경우 격리도, 방역 규제도 전면 철회하는 것으로 볼 때 리오프닝(Reopening)과 경기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내재된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2022.09.14 제롬파월의 '매파' 연설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Inflation Reduction Act)의 영향 (1) 2022.08.28 잭슨홀 미팅이 대체 뭐길래, 이토록 세간의 이목을 끄는 걸까? (0) 2022.08.25 주식 반대매매와 CFD (Contract for difference)란 무엇일까? (0) 2022.01.25 LG화학의 물적 분할과 LG 에너지 솔루션 상장, 공모주 청약 (0)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