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평균 월급 통계 발표경제뉴스 2023. 3. 4. 13:15반응형
2021년 직장인 월평균 소득이 발표 됐습니다. 지금은 2023년이지만 통계를 취합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2년 정도 후에 발표된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직장인의 연평균 소득은 약 250만 원 전후. 금융/보험업이 가장 급여가 높은가 하면 음식, 숙박업이 가장 낮은 연봉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소득차이는 2배가 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직장인의 월소득 소식을 접하면서 위안이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지금의 환경에 불만을 가질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위안을 느끼는 사람은 당연히 평균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기 때문에 "나는 해당사항이 없을 것이다." 생각하며 잠시 자기 위로를 할 수 있겠으나 실제로 더 초조하게 느껴야 하는 사람은 지금 높은 연봉을 받고 있는 대기업 직장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연령별로는 대기업은 50대가 729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소기업은 40대에 311만 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 자료를 봤을 때 과연 40대, 50대로 회사에 남아서 근무하는 인원이 얼마나 될 것인지 고려해 봐야겠습니다. 모집단의 절대적인 수가 적기 때문에 고액 연봉으로 집계되는 것 같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회사가 피라미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 뽑는 젊은 인원수는 늘리되, 관리자는 많이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통계를 보면서 가장 많이 드는 생각은 정년이 점차 짧아질 것 같다는 생각. 그리고 직장인은 반드시 나를 위한 나만의 비즈니스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100세 시대인 것을 고려하면 가장 최고의 연봉을 기록해야 되는 나이는 오히려 60, 70대가 아닐까요? 통계상에 70대는 아예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회사는 직장인들의 젊음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기업의 1차 목표는 역시 매출 신장에 있고 장기 근속자를 부양해야 할 의무는 없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직장인 개개인이 다른 사람을 아웃소싱 하던, 각자의 시스템을 만들던 본인의 은퇴 시기에 맞는 연금과 같은 대책을 만들어 내야 합니다.
사실 이 통계가 주는 시사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격차가 2배 이상 벌어져서 평균소득의 갭이 너무 크다는 것이 주인데 개인적으로는 대기업, 중소기업 소득과 관계없이 직장인이 갖는 씁쓸한 현실을 보여주는 통계가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반응형'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레인보우로보틱스 뉴스로 보는 미래 (0) 2023.03.09 닥터둠 "루비니" 교수의 경제 전망 - 초거대위협 (Megathreat)이 온다. (0) 2023.03.05 중국은 경기침체를 극복하는 희망이 될 수 있을까? (0) 2023.02.27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으로 주목받는 태양광 산업 (0) 2023.02.21 챗지피티 (Chat GPT) 는 검색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0)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