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쇼어링 (Reshoring) 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 걸까?경제뉴스 2022. 9. 9. 19:45반응형
리쇼어링이란,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국가로 생산기지를 옮겼다가 해당 국가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본 국으로 다시금 들어오는 현상을 뜻합니다. 중국에서 생산해서 미국에서 소비하는 공급망 이른바 "GLOBAL SUPPLY CHAIN"이라고 불리던 생산-소비 시스템의 변화 혹은 붕괴가 예측되어 최근 화두입니다.
미-중 간의 패권다툼이 리쇼어링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MADE IN CHINA"가 아닌 제품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물건의 대부분이 중국 제품이고 이는 곧 미국의 무역 적자를 암시합니다. 실제로 미국은 미-중 무역 간 적자를 냈고, 그 원인은 미국 제조 기업의 상당 부분 생산기지가 중국으로 넘어간 이유이기도 합니다.
리쇼어링은 자국 일자리 방어를 위한 정책입니다. 지금처럼 인플레이션이 심할 때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계 소비 위축은 기업 실적 악화로 이어집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자리마저 잃게 된다면 악순환의 고리가 반복될 수밖에 없고 결국 스테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우려 또한 있습니다. 자국 생산시설 확대로 인해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면, 그에 따라 가계 소비가 증대되고 물가 상승 압력을 저지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의 탈중국화는 무역으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에서 마냥 무시하고 지나치긴 어려운 과제입니다. 미국의 정책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미국에 적극적인 투자의사를 밝히는 것도 인건비 절감보다는 장기적으로 중국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규제가 두렵기도 하고, 시설 투자를 통해 차세대 먹거리 사업을 선점하기 위한 투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반도체를 비롯한 자동차,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 사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기업이 미국으로 시설투자를 하는 한편 흐름에 따라 많은 미국 기업들도 탈중국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 명의 개인투자자로서 기로에 서있습니다. 미-중 패권 다툼에서 어떤 국가가 우위를 점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기업을 골라서 투자할 것인지. 탈중국으로 인해 수혜 받는 기업은 어떤 회사들인지 많은 고민들이 있지만 철저한 고민 끝에 현명한 투자 철학이 나올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식료품 회사 오카도와 손잡은 롯데의 행보는 어떻게 될까 ? (0) 2023.02.05 5.2% 오른 소비자 물가지수, 내 연봉은 괜찮은가? (0) 2023.02.04 서울 아파트 매매 역대 최저 기록 (0) 2022.09.13 환율 1,380원 돌파, 2009년 이후 13년 5개월 만에 최고점 (1) 2022.09.08 미국 FOMC의 의미와 우리가 FOMC에 주목해야되는 이유 (0) 202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