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자본 창업을 해야하는 이유부자의 마인드 2022. 8. 30. 22:01반응형
투자할 돈이 없을수록 무자본 창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한 번쯤 은퇴 후의 삶에 대해서 생각하거나 쉽게 습관처럼 뱉은 말들이 있을 것입니다. 가령 "치킨 집 사장되겠다던지 카페나 차리지 뭐." 같은 말들입니다. 쉽게 뱉은 만큼 모든 사람들이 생각할 수 있고, 이런 흔한 생각들이 남들과 차별화되는 사업이 될지는 항상 의문입니다. 또한 그렇게 쉽게 생각하고 퇴직금까지 밀어 넣어서 시작한 사업이 성공한다는 보장이 있을까요?
최근 자청님의 책 "역행자"를 읽으면서 무자본 창업에 대한 본질적인 이유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고,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돈이 없을수록 무자본 창업부터 해야 할까요?
첫 번째 이유는 '니즈'에 대한 깊은 고민입니다. 사업은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가 필요한 것을 내가 해결해줄 수 있을 때 시작해야 된다는 말을 참 좋아합니다. 돈도 없이 시작하는 사람이 누군가 꼭 필요하지도 않은 일을 시작한다면 어느 누가 그를 응원하고, 그런 일이 돈이 될 수 있을까요? 내 상품, 내 서비스를 직접 이용할 상대방 혹은 고객을 더 많이 생각했을 때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그게 실현이 되는 순간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누구에게 도움이 되게 하려면 그 만한 깊은 고민과 통찰력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 이유는 말 그대로 돈이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는 아이디어가 있고, 돈이 안 들지만 당장 실행 가능한 것이면 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여기서 투자되는 것은 "시간과 노력" 뿐입니다. 이것마저 투자하지 않는 사업가가 있을까요? 남의 돈으로 사업을 하면 잠깐 마음이 편할지는 몰라도 갚아야 하는 돈이라면 전혀 돈이 들지 않는 사업은 리스크가 없습니다. 나태하지 않으려는 태도와 시간만 투입하면 되는 일입니다.
인터넷 기사를 읽다가 이모티콘 작가 관련 글을 봤는데 대표적인 무자본 창업의 예가 아닌가 합니다. 어느 정도 그림 실력이 있는데 사람들의 감정을 잘 이해하는 능력까지 갖추고 있다면 한 번 해볼만 하지 않을까요?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받으면서 인기작이 탄생하는 이모티콘 작가는 어느 정도 투자금이 필요할까요? 아마도 가게를 빌려 월세를 내고 손님을 기다리는 일보다는 실패하더라도 그 상처가 덜 쓰릴 것 같습니다.
반응형'부자의 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을 저축하는 일과 소비하는 일의 보상을 비교할 수 없는 이유 (0) 2022.09.14 사람들이 몰리는 곳엔 비싸기만하고 먹을게 없다. (1) 2022.09.06 부자로 가는 모든 여행길에 계획이 필요한 건 아니다. (2) 2022.09.02 "작은 성공"이 중요한 이유 (0) 2022.08.31 부자들이 자산의 선순환을 반복하는 방법 (0) 20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