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율은 왜 자꾸 오르는 걸까?재테크 2022. 8. 23. 22:31반응형
연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를 웃돌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는 요즘 왜 이렇게 사람들은 환율에 민감한 것일까요? 그리고 물가가 비싸지는 것 이외에 주변에 특별한 사건, 사고나 달라지는 일들이 많이 없는 것 같은데 왜 이렇게 환율은 자꾸 오르는 것일까요? 한국은행에서 설명하는 환율의 변동요인을 기초해서 제 생각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출처 : 네이버 한국은행에 따르면 환율의 변동 요인은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고 합니다. 각국의 경제 여건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통화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환율 변동요인의 정의인데 여기서 경제 여건은 물가와 생산성 등이 그 기준이 됩니다. 원달러 환율이 치솟는다는 것은 달러의 수요는 많아지는 반면 원화의 수요는 떨어지는 현상 때문에 발생한다고 하겠습니다.
미국이 긴축 재정을 실시하면서 금리가 올라가고, 금리가 오르면 개발 도상국에 투자하는 대신 미국에 대한 기대로 자금이 회수되기도 하지만 경제가 어려워질 것 같다는 전망과 함께 달러에 대한 수요도 올라갑니다. 제가 느끼는 바로는 가뜩이나 신흥국 투자자금을 회수해가는 마당에 안전 자산으로서 달러를 보유하려는 움직임이 수반되면서 달러 공급 축소 및 수요 과다가 한 번에 작용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최근 한국의 원화가 더욱 절하되는 이유 중 하나는 중국의 경기 부양 안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한국의 수출을 가장 많이 차지하기도 하거니와 이상하게도 미국/중국의 악재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이 한국 시장인 듯한데, 중국의 경기 부양 안은 실제로 국제사회에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움직임으로 비쳐 미국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이 더욱 짙어지면서 달러 대비 원화 가치도 함께 떨어지지 않나 합니다. 주요 6개국의 통화와 비교한 지난 5년간 달러 인덱스를 보더라도, 달러의 가치가 상당히 높아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인베스팅 닷컴
달러 가치의 상승은 단기간 수출 기업의 호실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 합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고점에서 장기간 유지된다면 물가가 폭등해서 이를 가격에 전가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점차 고용을 축소할 수밖에 없고, 고용 축소는 소비 위축으로 그리고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 주식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원달러 환율의 고공행진은 그리 달갑지만은 않은데 그 이유는 외국인 및 기관의 국내 시장 매수세가 줄어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겠으나 작은 뉴스 하나에도 등락이 반복되는 요즘같은 시기에 좀 더 유연하게 사고하여 전화위복의 기회를 만들 수 있길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반응형'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이 돈을 모으기 위해 해야할 일 (0) 2023.03.10 직장인들에게 개인 퇴직연금이 필요한 이유 (펀드 or 저축) (2) 2022.08.27 해외에서 사용하기 좋은 신용카드 (2편) - 신한카드 The CLASSIC-Y 이용후기 (1) 2022.08.20 원달러 환율이 지금처럼 고점일 때, 할 수 있는 투자는 어떤게 있을까? (0) 2022.08.19 해외에서 사용하기 좋은 신용카드 (1편) - 신용카드를 골랐던 기준 (2) 20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