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범한 직장인이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현실적인 방법 Part1재테크 2024. 1. 10. 08:24반응형
이른 나이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스톤하우스입니다. 오늘은 제가 생각하는 경제적 자유 그리고 지금까지 생각해 본 이른 나이게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 등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영 앤 리치, 파이어족"이라는 단어들이 MZ 세대들 사이에서는 특히 유행인 것 같습니다만 뼈를 깎는 고통은 아닐지라도 적층 된 나만의 노하우가 없다거나, 특별한 노력 없이는 경제적 자유에 이르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평범한 직장인도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방법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경제적 자유란?
경제 생활에서 각 개인이 스스로 행동할 수 있는 자유를 뜻합니다. 사전적 의미는 이렇지만 결국 아침부터 잠들기 전까지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경제적으로 부담이 없는 사람들을 일컬어 경제적 자유를 얻은 개인이라고 지칭합니다. 제가 열망하는 부자의 모습 또한 경제적 자유를 이룬 사람을 지칭하는데 여기서 "자유"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한 달에 100만 원만 쓰더라도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500만 원을 쓰더라도 부족한 사람이 있습니다. 부양해야 할 가족이 많을 경우 더 많은 비용 지출이 예상되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들의 소비까지 전부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현금흐름을 꾸준히 창출할 수 있으면 경제적 자유를 이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꾸준한 현금 흐름
이미 꾸준한 현금 흐름이 발생하고 있는 직장인들에게는 어쩌면 더 이상 고민거리가 없을지 모릅니다. 직장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이미 충분한 돈을 벌고 있기 때문입니다. 월 300만원 월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회사 입장에서는 약 10억 원이 되는 돈을 연간 4% 이자를 받는 은행에 예치한 것과 다름없기 때문에 개인 입장에서 봤을 때도 동일하게 가정하면 됩니다. 지금 내가 받고 있는 돈에 상응하는 월급을 만들어 내려면 최소 10억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역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단, 차이점이 있다면 지금 회사에서 받는 300만 원은 내 시간을 넣어서 만든 근로소득이자 노동소득이고, 이 중에서 저축한 금액을 제외한다면 300만 원 보다 적은 금액으로 현금 흐름을 만들어 내더라도 경제적 자유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 100만 원은 저축하고 200만 원 만 실생활에 사용한다면, 200만 원만큼의 자본 소득만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평생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이 것이 바로 개인에게 있어 현금 흐름의 중요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간 재테크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 경제적 자유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재테크"라는 말은 보통 소득의 일부를 저축하거나 투자해서 돈을 모으고 효율적으로 재분배하는 뜻으로 사용되지만 개인적으로는 "돈"의 재테크 보다 "시간"의 재테크를 통해서 더 효율적으로 경제적 자유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평범한 직장인들에게 "돈"이라는 재화는 연봉, 월급으로 정해져 제한적이지만 회사에 묶여있는 외적인 시간, 사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의 활용 가치는 무한하기 때문입니다. 남는 시간에 남들과 같이 놀거나 술 마시는데 시간을 보낸다면 더 이상 달라질 인생이 없습니다. 남이 일하는 시간에 일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일하지 않는 시간에도 틈틈히 자신만의 시간 재테크를 하지 않으면 경제적 자유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사회 초년생일수록 돈보다는 시간이 풍요롭기 때문에 소중히 저축한 돈으로 투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남는 시간에 어떤 활동을 통해서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낼지 고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재테크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Part2에서는 시간을 재테크 하는 방법이 어떤 것이 있을지 좀 더 자세히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달라지는 청년 정책 정리 - 1편 (0) 2024.01.29 평범한 직장인이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현실적인 방법 Part2 (0) 2024.01.12 강환국 작가님의 파이어 (FIRE)를 읽고 몰랐던 내용 정리하기 - 디파이 코인 / BNB코인 / 클레이튼 코인 (0) 2023.10.17 파이어족 (FIRE) 이란 무엇인가? (1) 2023.10.12 시드머니로 1억을 먼저 만들어야 하는 이유 (0) 2023.10.08